YH의 시장분석채널

미국 급등주 · 빅테크 실적 · 실시간 종목 정보 제공 및 코인, 한미증시, 세계증시 등 각종 정보 제공

미국증시

국제유가 급락! OPEC+ 증산 결정에 WTI 57달러 붕괴…향후 전망은?

YH 시장분석소 2025. 5. 6. 09:09
728x90
반응형

2025년 5월 6일 기준, 국제유가가 급락하며 시장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OPEC+의 6월 증산 결정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유가는 크게 하락하며 2021년 이후 4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사태의 배경부터 향후 전망, 투자자 대응 전략까지 종합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WTI·브렌트유 나란히 급락…2021년 이후 최저치

5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거래된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6월물은 전 거래일 대비 1.16달러(-1.99%) 하락한 배럴당 $57.13에 마감했습니다.

WTI 일봉차트, 출처 : 트레이딩뷰

또한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7월물)1.06달러(-1.73%) 떨어진 $60.23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브렌트유 일봉차트, 출처 : 트레이딩뷰

이 가격대는 2021년 2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에너지 시장의 구조적 변화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2️⃣ OPEC+의 6월 증산 결정…골드만삭스 예상 3배 수준

이번 유가 하락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OPEC+의 증산 발표입니다.

  • OPEC+는 5월부터 시작한 하루 41만1000배럴 증산을 6월까지 연장
  • 골드만삭스는 애초 하루 14만 배럴 증산을 예상했으나, 실제 규모는 약 3배에 달하는 수준
  • 두 달간 누적 공급량 증가분은 약 80만 배럴 이상으로 추정됨

이는 수요보다 공급이 앞서 나가는 구도로 시장을 몰아가면서, 유가 하방 압력을 극대화시키고 있습니다.


3️⃣ 유가 전망도 하향…골드만삭스 “연간 전망치 3달러 하향”

골드만삭스의 석유 담당 수석 애널리스트인 다안 스트루이븐은 다음과 같이 분석했습니다.

"현물 시장 펀더멘털은 비교적 견고하지만, 높은 재고 수준경기침체 리스크 확대로 인해 유가는 계속해서 하락 압력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골드만삭스는 2025년 미국산 원유 평균가 전망을 기존 대비 3달러 낮춘 $56로 조정했습니다. 이는 향후에도 추가 하락 가능성이 존재함을 시사합니다.


4️⃣ 유가 하락이 미치는 산업별 영향

구분영향관련 종목/ETF
정유/에너지 실적 하락 우려 정유주, XLE, OIH 등
운송/항공 원가 절감 효과 대한항공, FedEx 등
화학/소비재 간접 수혜 가능성 LG화학, 소비재 ETF
산유국 환율 약세 압력 확대 러시아 루블, 사우디 리얄 등
 

특히 국내 증시에서는 S-Oil, SK이노베이션, GS 등 정유주들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반대로 항공·운송·유통 관련 업종에는 긍정적인 흐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과거 사례와 비교: 2020년 팬데믹 당시와는 다른 양상

2020년 초 코로나19 대유행 당시에도 국제유가는 수요 감소 우려로 급락한 바 있습니다. 당시에는 WTI가 한때 마이너스(-37달러)까지 추락했었죠.

하지만 이번 사태는 공급 증가가 주된 원인이며, 경기침체 리스크는 그 보조 요소에 가깝습니다.
즉, 시장 구조 자체가 수요 위축보단 공급 과잉에 따른 전형적 약세 흐름으로 변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격이 다릅니다.


6️⃣ 투자자 대응 전략: 지금은 ‘기회’일까, ‘위험’일까?

단기적으로는 원유 가격 하락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 에너지 ETF 비중 축소 또는 일부 차익 실현
  • 항공·운송·화학 업종 비중 확대 검토
  • 원유 선물의 경우 하방 진입은 짧게, 리스크 관리 필수
  • 산유국 환율 및 국가 ETF 변동성 주의

또한 미국의 재고 수치 발표, 중국의 원유 수입 지표, 미국의 GDP·고용지표 등을 함께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마무리 코멘트

국제유가는 OPEC+의 예상을 뛰어넘는 증산 발표로 인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이는 에너지 시장뿐만 아니라 글로벌 증시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슈입니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산업별 대응 전략이 필요하며, 시장의 유가 바닥 형성 여부에 주목할 시점입니다.
📬 매일 시장 요약을 받고 싶으시다면 YH 시장분석소 구독과 하트 부탁드립니다!


✅ 면책사유 및 출처

※ 본 글은 Bloomberg, CNBC, Yahoo Finance, 미국 정부 및 주요 외신의 공개된 공식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OPEC+ 증산 쇼크! 국제유가 57달러 붕괴, 어디까지 하락할까?
  • 유가 급락에 정유주 흔들…투자자 대응 전략은?
  • 골드만삭스 유가 전망 하향…에너지 시장 위기 오나
  • 국제유가 4년 만에 최저치…OPEC+ 공급 과잉 우려
  • WTI·브렌트유 나란히 하락…산업별 영향 총정리

🧨 이번 주 무역협상 타결 임박?! 미국 재무장관 베센트의 중대 발언 정리 보러가기https://yhw5285.tistory.com/497

 

📌미국 재무부 장관 베센트 “무역 협상, 이번 주 초 타결 가능성” 발언 정리

2025년 5월 5일(현지 기준), 미국 재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가 글로벌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만한 중대 발언을 내놓았습니다. 그는 “우리는 무역에 관한 일부 협상에 매우 가까이 있습니다. 어쩌면

yhw5285.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