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코인 등 기본지식 설명!

📌청산(Liquidation)이란? 한순간에 계좌가 사라지는 이유 정리 ⚠️

YH 시장분석소 2025. 4. 24. 23:20
반응형

믿고 보는 주식·코인 정보, YH의 블로그에서 정리해드립니다.

“어? 왜 내 포지션이 강제 종료됐지?”
“방금까지 수익이었는데… 갑자기 전액 손실이라고요?”
→ 이것이 바로 ‘청산(Liquidation)’입니다.

특히 선물/마진 거래를 하는 트레이더라면 반드시 이해해야 할 개념
이번 글에서는 청산의 구조와 원리, 그리고 청산당하지 않기 위한 실전 전략까지 정리해드립니다.


✅ 1. 청산(Liquidation)이란?

레버리지 거래 중, 계좌의 증거금이 부족해지면 강제로 포지션이 종료되는 것

  • 주가/코인가격이 반대 방향으로 급격히 움직이면
    → 내가 맡긴 증거금이 버티지 못하고 소진
    → 거래소가 포지션을 강제 종료시킴
    → 이걸 청산이라고 함

📌 쉽게 말해:
“손실이 너무 커져서 거래소가 더는 못 맡기겠다며 강제로 끊는 것”


✅ 2. 어떤 상황에서 청산이 발생하나요?

예시: 비트코인 10배 레버리지 ‘롱’ 포지션

  • 진입 가격: $30,000
  • 레버리지: 10x → 실제 증거금은 $3,000
  • 청산 가격: 약 $27,300
    가격이 약 -9%만 빠져도 전체 자산 증발 (강제 청산)

📌 레버리지가 높을수록 → 청산 가격은 가까워짐
즉, 위험은 기하급수적으로 커짐


✅ 3. 교차 / 격리 마진 청산 차이

구분격리 마진교차 마진
증거금 범위 포지션 별로 한정 계좌 전체 자산 사용
청산 리스크 일정 수준 손실 시 바로 청산 계좌 전액을 활용해 더 늦게 청산
리스크 관리 수동적 / 보수적 공격적 (단, 전체 계좌 날릴 수 있음)

📌 초보자는 격리 마진으로 연습하는 것이 리스크 관리에 유리


✅ 4. 청산을 피하려면?

전략설명
📊 레버리지 축소 2~3배 이하로 제한 → 청산 가격 여유 확보
💵 충분한 증거금 유지 마진비율 100% 이하 떨어지지 않게 조절
물타기 주의 손실 중 추가 진입은 청산 가능성 더 높임
🧯 스탑로스 설정 청산 전에 자율 손절하는 안전장치
🔄 분할 진입·분할 청산 단일 포지션 몰빵 피하기

✅ 핵심: “청산을 막는 게 수익을 지키는 시작”입니다.


✅ 5. 실제 사례: ‘전체 자산이 순식간에 사라진다’

  • 코인 선물 거래 중 20x 레버리지 진입
  • 시세 -6% 하락 → 청산
  • 다음 날 반등했지만 이미 청산 당한 상태
  • 손실금액: 전체 투자금 100%

📌 청산당하면 반등이 와도 기회는 없음
레버리지는 무기이자 독


✅ 마무리 코멘트

청산은 단순한 손절이 아닙니다.
“의지와 상관없이 계좌가 초기화되는 것”,
즉, 게임오버 버튼이 눌리는 순간입니다.

레버리지 거래를 한다면,
수익률보다 먼저 생각해야 할 건 청산 방어입니다.

YH의 블로그에서는 다음 글에서
📘 청산을 피하는 마진 운용법 / 스탑로스 설정 방법도 이어서 정리해드릴게요!


⚠ 면책 조항

※ 본 글은 바이낸스, 업비트, Bybit 등 거래소 설명서와 실제 트레이더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투자 판단은 본인의 책임입니다.

 

  • 청산(Liquidation)이 뭐예요? 코인·선물 계좌가 한순간에 사라지는 이유
  • 강제 종료? 청산당하는 구조와 피하는 법 완벽 정리
  • 레버리지 거래 시 필수 지식, 청산이란 무엇인가요?
  • 수익보다 중요한 건 계좌 지키는 법, 청산을 막아야 합니다
  • 청산 한 번이면 끝입니다. 마진/선물 거래 전 반드시 알아야 할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