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H의 시장분석채널

미국 급등주 · 빅테크 실적 · 실시간 종목 정보 제공 및 코인, 한미증시, 세계증시 등 각종 정보 제공

미국주식

알리바바, 1분기 실적 부진... AI와 전자상거래 모두 ‘기대 이하’

YH 시장분석소 2025. 5. 16. 12:05
728x90
반응형

중국 대표 기술기업 알리바바가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지만, 시장 기대를 충족하지 못하며 주가가 급락했습니다. 국내외 전자상거래와 AI 등 주요 부문에서 기대 이하의 성적표를 받아들였고,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여파도 뚜렷하게 반영된 모양새입니다.


1. 실적 요약: 성장했지만 기대치는 미달

알리바바는 2025년 1분기 매출 2364억 5000만 위안(약 45조 9000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7% 성장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LSEG 애널리스트 전망치인 2372억 4000만 위안에 미치지 못하는 수치였습니다.

순이익은 전년 대비 279% 증가한 124억 위안을 기록했지만, 이 역시 블룸버그 집계 시장 전망치인 226억 위안에는 크게 못 미쳤습니다.

이러한 실적 발표 이후, 알리바바 주가는 뉴욕증시에서 7% 이상 하락했고, 홍콩증시 개장 직후에도 6% 넘게 빠졌습니다.


2. 핵심 부문별 분석

📌 전자상거래: 국내는 정부 보조금 수혜, 해외는 관세 직격탄

  • 국내 플랫폼(타오바오·티몰):
    매출 1013억 7000만 위안으로 9% 성장했습니다. 수치는 양호했으나, 중국 정부의 대규모 소비 진작책(가전·스마트폰 교체 보조금 등)을 감안하면 기대 이하라는 평가입니다.
  • 해외 플랫폼(알익스프레스 등):
    전년 대비 22% 증가했지만, 애널리스트 기대치인 26.4%에도 못 미치고 전분기 대비 성장률도 낮아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영향이 계속되면서 글로벌 부문 성장이 제약받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 AI 및 클라우드: ‘빅베팅’ 했지만 결과는 무난

  • 알리바바는 향후 3년간 AI 인프라에 3800억 위안(약 77조 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며 AI 사업에 전면적으로 나선 상태입니다.
  • 클라우드 인텔리전스 부문은 전분기 13.1%에서 이번 분기 17.7% 성장으로 속도가 붙었지만,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지는 못했습니다.
  • 2월에 공개한 플래그십 AI 모델 ‘Qwen 3’는 딥시크와 경쟁 가능한 성능을 강조했지만, 실제 수익성과 영향력 면에서는 시장의 높은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3. 관세 이슈와 향후 전망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한 대중 무역전쟁 여파는 여전히 알리바바의 해외 사업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발 소액 소포에 대한 관세 인상은 해외 전자상거래 플랫폼 매출 성장 둔화로 이어졌습니다.

다만, 최근 미국 정부가 중국발 소포에 대한 관세 일부를 인하하면서, 향후 분기부터는 해외 사업 부문 회복이 기대됩니다.


4. 투자자 코멘트

실적 발표 이후 알리바바 주가가 급락한 것은 시장이 단순히 수치 이상의 미래 성장에 대한 기대감 부족을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AI, 클라우드, 해외시장까지 전방위 확장에 나서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익성과 성과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투자 매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 마무리 코멘트

알리바바는 여전히 아시아 최대의 플랫폼 기업이며, AI와 글로벌 전자상거래로의 확장이라는 거대한 비전을 갖고 있지만, 이번 분기 실적은 그 비전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보여줍니다.
향후 분기에서 정부 정책, 글로벌 무역환경 변화, AI 수익화가 얼마나 가시화될지에 따라 알리바바의 반등 여부가 결정될 것입니다.

📬 매일 시장 요약을 받고 싶으시다면 YH 시장분석소 구독과 하트 부탁드립니다!


🧾 면책사유 및 출처

※ 본 글은 Bloomberg, CNBC, 아주경제, 연합뉴스, 로이터 및 알리바바 IR 발표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본 글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 판단에 따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알리바바 1분기 ‘기대 이하’…AI와 전자상거래 모두 흔들렸다
  • 알리바바 실적 쇼크…트럼프 관세·AI 투자 무용론 부상
  • 알리바바, 실적 발표 후 뉴욕·홍콩 동반 급락한 이유는?
  • 기대 부응 못한 알리바바, AI 투자에도 시장 실망
  • 중국의 자존심 알리바바, 1분기 성적표 ‘쓴맛’

5월 16일 코인시장, 격동의 하루 정리 보러가기 https://yhw5285.tistory.com/654

 

[5월 16일 코인시장 브리핑] 리플 급락·코인베이스 유출 이슈…비트코인 옵션 만기 주의

📌 코인시장 공탐 지수 71 유지, 탐욕 단계 지속2025년 5월 16일 기준, 코인시장 투자심리를 보여주는 공포·탐욕 지수는 전일 대비 1포인트 상승한 71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여전히 ‘탐욕(Greed)’

yhw5285.tistory.com

 

 

728x90
반응형